2017년 6월 7일 수요일

[네트워크] 리눅스cent rhel 서버 네트워크 대역폭 제어 – ETHTOOL / TC

오늘은 리눅스 서버에서 기본적으로 네트워크 대역폭을 제어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서버호스팅을 이용하다 보면 서버 사양만 고려하고 대역폭과 트래픽에 대해 쉽게 간과하여 자칫 트래픽 과금 폭탄을 맞을 수 있습니다.

해당 내용은 이전에 작성한 포스팅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트래픽 계산 및 과금 방법 포스팅 바로가기]

 

호스트메카를 포함한 여러 호스팅 업체에서는 특별한 케이스 외 일반적으로 대역폭을 별도로 제한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간단하죠. 

요금체계가 트래픽 과금 방식이기 때문입니다.

일정량의 기본 트래픽을 제공하고 초과되는 트래픽에 대해 별도 과금하여 회사 매출로 이어지게되는… 

그리고 업체에서 직접 대역폭을 제한할 경우, 고객이 원하는 인터넷 속도를 맞출 수가 없게되죠. 그건 바로 고객 불만 사항으로 접수될테구요.

어찌됐든 업체에서 제공해 주지 않는다고 해서 그냥 쓰시는 분들도 있겠지만, 추가로 돈내기 싫으신 분들은 직접 제어하는 게 좋겠죠?

 

그래서 대표적으로 많이 쓰는 두 가지 방법을 소개해 드릴까 합니다. 바로 ethtool 과 tc !!

그럼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죠.

 

[ethtool]

 – ethtool은 리눅스 내 네트워크 상태 정보를 알아보거나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 기본 사용법 : ethtool 장치명

[설명]Supported link modes지원 가능한 링크 모드Supported auto-negotiation자동협상인식기능의 지원여부Speed현재 속도 (대역폭)Duplex전송 모드Auto-negotiation자동협상인식기능 동작 여부

 

위 내용을 바탕으로 살펴보면, 

테스트 서버의 지원 가능한 랜카드의 대역폭은 10/100/1000 이며, auto-negotiation 기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현재 연결된 네트워크 속도(대역폭)는 100Mb/s이며, 전송 모드는 Full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럼 ethtool을 이용하여 설정을 변경해 볼까요?

설정은 네트워크 속도 : 10Mb/s, 전송 모드 Full, auto-negotiation : off 로 하겠습니다.

 – 설정 사용법 : ethtool -s 장치명 speed (10/100/1000) duplex (full/half) autoneg (on/off)

ethtool 명령어를 이용해 쉽게 10Mb/s 로 대역폭이 제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편리하긴 하지만 한가지 문제가 있겠죠? 바로 세밀한 대역폭 조절이 어렵다는 것!!

ethtool은 Supported link modes에 지원되는 값으로만 설정이 가능하기에 30/50/80 등 사용자가 지정한 값으로는 조절이 불가합니다.

 

그럴 때 이용할 수 있는 명령어가 바로 tc 입니다.

tc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직접 장치별 대역폭을 지정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 해당 명령어를 사용하기 쉽게 스크립트 형태로 제공하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tc 스크립트 바로가기]

 

[tc]

 – 리눅스 기본 패키지인 iproute 안에 내장된 명령어로 Traffic Control의 약자입니다.

   네트워크 스위치의 도움 없이 서버 자체에서 이더넷 속도를 제한할 수 있으며, QOS(Quality Of Service)와 비슷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 링크 내 해당 스크립트에서 수정할 부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22라인 IF=eth0             # Interface (장치명)

25라인 DNLD=1mbit          # DOWNLOAD Limit (다운로드 제한)

28라인 UPLD=1mbit          # UPLOAD Limit (업로드 제한)

31라인 IP=216.3.128.12     # Host IP (서버 IP)

 

자 그럼 저는 원하는 값으로 수정하였으니, 스크립트를 실행하고 결과를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외부에서 파일을 다운로드 할 때의 트래픽 변화입니다. 제가 제한을 어떻게 걸었는지 아시겠죠?

35 > 25 > 15 mb로 설저을 변경하면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잘 적용이 되는 듯 합니다만, 한가지 특이한 점은 서버 기준 Out트래픽(UPLD)만 제한이 되고, In트래픽은 제한되지 않습니다. 

원인은 tc를 통해 제어하는 트래픽 세이핑 방법은 Out트래픽에만 적용되기 때문인데요.  추후 In트래픽 제한 방법에 대해 별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까지가 가장 기본적인 tc 사용법이며 활용 방법은 무궁무진합니다.

tc를 잘 활용하면, 특정 IP 서버 혹은 특정 국가별 대역폭 조절도 가능하죠. 자세한 건 검색을 통해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015년 3월 3일 화요일

RHEL 6.x 교육 1일차


[root@station12 /]# echo \$HOME is '$(date)'
$HOME is $(date)
[root@station12 /]# echo \$HOME is '$(^C
[root@station12 /]# echo \$HOME is $(date)
$HOME is 2015. 03. 02. (월) 23:01:18 KST

\ ' "  사용법 숙지


cpus로 프린터 셋팅하기

localhost:631 #접속하여 셋팅하면됨 very simple#

프린터 출력
lp -d 프린터 이름 -n 16 /etc/sevices  ##16은 출력매수

상태확인
[root@station12 /]# lpstat -t #모든사용자 프린트 상태확인#
일정이 실행 중
시스템 기본 대상 없음
deskjet500에 대한 장비: serial:/dev/ttyS0?baud=57600+bits=8+parity=none+flow=none
 2015년 03월 02일 (월) 오후 09시 25분 19초 이후에 deskjet500 승인 요청
deskjet500 프린터가 대기 중.  2015년 03월 02일 (월) 오후 09시 25분 19초 이후에 활성화됨

[root@station12 /]# lpstat #프린트 상태확인 내 계정
deskjet500-2            root                 0   2015년 03월 02일 (월) 오후 11시 03분 27초
deskjet500-3            root                 0   2015년 03월 02일 (월) 오후 11시 03분 32초

[root@station12 /]# cancel #프린터 출력 취소


cd drd 사용법
ll /dev/cdrom #cdrom 확인


dvd mount 방법

[root@station12 /]# mount -t iso9660 /dev/dvd /mnt   #dvd mount
mount: block device /dev/sr0 is write-protected, mounting read-only

[root@station12 /]# ll /mnt #마운트 확인
합계 3428
dr-xr-xr-x. 3 root root   2048 2013-01-31 05:32 EFI
lr-xr-xr-x. 1 root root      7 2013-01-31 05:32 EULA -> EULA_en
-r--r--r--. 3 root root  10726 2012-11-08 00:17 EULA_de
-r--r--r--. 3 root root   8724 2012-11-08 00:17 EULA_e[root@station12 /]# ll /mnt


/dev/null 사용법
[root@station12 /]# cal > /dev/null  #dev/null로 보내서 출력이 없음
[root@station12 /]# cal # 원래 출력값
      3월 2015     
일 월 화 수 목 금 토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ree 사용법  (파일 구조 살피기)

[root@station12 /]# tree | more
.
├── bin
│   ├── alsaunmute
│   ├── arch
│   ├── awk -> gawk
│   ├── basename
│   ├── bash
│   ├── cat
│   ├── cgclassify
│   ├── cgcreate
│   ├── cgdelete

lsmod 모듈 확인
[root@station12 rules.d]# lsmod  #모듈 확인
Module                  Size  Used by
nls_utf8                1455  1
ppdev                   8537  0
parport_pc             22690  0
lp                      9242  0
parport                36209  3 ppdev,parport_pc,lp
bridge                 79078  0
nfs                   416657  0
lockd                  73534  1 nfs
fscache                53874  1 nfs
auth_rpcgss            44917  1 nfs
nfs_acl                 2647  1 nfs
fuse                   69253  2
autofs4                26513  3

[root@station12 rules.d]# lsmod | grep r81
r8169                  60023  0
mii                     5376  1 r8169

[root@station12 rules.d]# modinfo r8169 #모듈 상세확인
filename:       /lib/modules/2.6.32-358.6.1.el6.x86_64/kernel/drivers/net/r8169.ko
firmware:       rtl_nic/rtl8168g-1.fw
firmware:       rtl_nic/rtl8106e-1.fw
firmware:       rtl_nic/rtl8411-1.fw
firmware:       rtl_nic/rtl8402-1.fw
firmware:       rtl_nic/rtl8168f-2.fw
firmware:       rtl_nic/rtl8168f-1.fw
firmware:       rtl_nic/rtl8105e-1.fw
firmware:       rtl_nic/rtl8168e-3.fw
firmware:       rtl_nic/rtl8168e-2.fw
firmware:       rtl_nic/rtl8168e-1.fw
firmware:       rtl_nic/rtl8168d-2.fw
firmware:       rtl_nic/rtl8168d-1.fw
version:        2.3LK-NAPI
license:        GPL
description:    RealTek RTL-8169 Gigabit Ethernet driver
author:         Realtek and the Linux r8169 crew <netdev@vger.kernel.org>

모듈 설치 및 제거
[root@station12 rules.d]# modprobe nfs #설치
[root@station12 rules.d]# modprobe -r nfs #제거
FATAL: Module sunrpc is in use.
WARNING: Error running remove command for sunrpc

삭제된 모듈 정보 복구
[root@station12 rules.d]# > /lib/modules/2.6.32-358.6.1.el6.x86_64/modules.dep  #모듈정보 삭제
[root@station12 rules.d]# ll /lib/modules/2.6.32-358.6.1.el6.x86_64/modules.dep  #확인
-rw-r--r--. 1 root root 0 2015-03-03 00:06 /lib/modules/2.6.32-358.6.1.el6.x86_64/modules.dep

[root@station12 rules.d]# depmod  #모듈 정보 복구
[root@station12 rules.d]# ll /lib/modules/2.6.32-358.6.1.el6.x86_64/modules.dep  #복구 확인
-rw-r--r--. 1 root root 196799 2015-03-03 00:06 /lib/modules/2.6.32-358.6.1.el6.x86_64/modules.dep

모듈 삭제 및 생성
[root@station12 rules.d]# lsmod | grep 8169  # 삭제할 모듈확인
r8169                  60023  0
mii                     5376  1 r8169
[root@station12 rules.d]# modprobe -r r8169  # 삭제
[root@station12 rules.d]# lsmod | grep 8169   # 삭제 된것 확인
[root@station12 rules.d]# insmod r8169           # insmod 설치 시도 절대경로를 알지못하면 아래처럼 설치가안됨
insmod: can't read 'r8169': No such file or directory
[root@station12 rules.d]# modprobe r8169          #modprobe를 이용 하여 설치
[root@station12 rules.d]# lsmod | grep 8169       #설치확인
r8169                  60023  0
mii                     5376  1 r8169




커널 파라미터 수정 ******중요
echo 1 > /proc/sys/net/ipv4/icmp_echo_ignore_all  #icmp 무시 셋팅

[root@station12 rules.d]# ping 10.100.0.11             # 확인 ping이 안나감
PING 10.100.0.11 (10.100.0.11) 56(84) bytes of data.
^C
--- 10.100.0.11 ping statistics ---

[root@station12 Desktop]# sysctl -a | grep icmp_echo_ignore   #sysctl 네트워크 환경 전부확인
net.ipv4.icmp_echo_ignore_all = 1
net.ipv4.icmp_echo_ignore_broadcasts = 1

위에 셋팅은 임시적으로서 재기동 하면 셋팅 초기화됨
영구적으로 하려면 /etc/sysctl.conf 수정
vi /etc/sysctl.conf
net.ipv4.icmp_echo_ignore_all = 1

재기동 후에도 적용하려면
/etc/sysctl.conf 를 수정하여야한다.

24 packets transmitted, 0 received, 100% packet loss, time 23381ms


[root@station12 Desktop]# vi /etc/sysctl.conf # 열어서
net.ipv4.tcp_max_syn_backlog = 200000 # 설정값 수정

[root@station12 Desktop]# sysctl -a | grep back
vm.dirty_background_ratio = 10
vm.dirty_background_bytes = 0
vm.dirty_writeback_centisecs = 500
net.core.netdev_max_backlog = 1000
net.ipv4.tcp_max_syn_backlog = 2048      #아직 변화 없음 기본적으로 재기동시 적용


[root@station12 Desktop]# sysctl -p  #재기동 안하고 적용
net.ipv4.ip_forward = 0
net.ipv4.conf.default.rp_filter = 1
net.ipv4.conf.default.accept_source_route = 0
kernel.sysrq = 0
kernel.core_uses_pid = 1
net.ipv4.tcp_syncookies = 1
net.bridge.bridge-nf-call-ip6tables = 0
net.bridge.bridge-nf-call-iptables = 0
net.bridge.bridge-nf-call-arptables = 0
kernel.msgmnb = 65536
kernel.msgmax = 65536
kernel.shmmax = 68719476736
kernel.shmall = 4294967296
net.ipv4.tcp_max_syn_backlog = 200000

[root@station12 Desktop]# sysctl -a | grep back
vm.dirty_background_ratio = 10
vm.dirty_background_bytes = 0
vm.dirty_writeback_centisecs = 500
net.core.netdev_max_backlog = 1000
net.ipv4.tcp_max_syn_backlog = 200000  #변경 내용확인

RHEL 파일시스템 변천사 (5~7)
RHEL5 -> ext3
RHEL6 -> ext4
RHEL7 -> xfs

램디스크 삭제 및 생성

[root@station12 boot]# ll /boot #폴더 확인
합계 22754
-rw-r--r--. 1 root root  2407872 2013-04-24 04:53 System.map-2.6.32-358.6.1.el6.x86_64
-rw-r--r--. 1 root root   104085 2013-04-24 04:53 config-2.6.32-358.6.1.el6.x86_64
drwxr-xr-x. 3 root root     1024 2015-02-28 00:24 efi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1:47 grub
-rw-r--r--. 1 root root 16531618 2015-02-28 00:24 initramfs-2.6.32-358.6.1.el6.x86_64.img
drwx------. 2 root root    12288 2015-02-28 00:20 lost+found
-rw-r--r--. 1 root root   185842 2013-04-24 04:54 symvers-2.6.32-358.6.1.el6.x86_64.gz
-rwxr-xr-x. 1 root root  4045712 2013-04-24 04:53 vmlinuz-2.6.32-358.6.1.el6.x86_64
[root@station12 boot]# rm initramfs-2.6.32-358.6.1.el6.x86_64.img   # 램디스크 삭제
rm: remove 일반 파일 `initramfs-2.6.32-358.6.1.el6.x86_64.img'? y

[root@station12 boot]# dracut # 램디스크 복구 --force 옵션도 있음

만약 커널이 여러개일 경우 특정 램디스크 생성하는법
[root@station12 boot]# dracut /boot/initramfs.img kernel_version

램디스크 내용보기
[root@station12 boot]# ll /boot
합계 22814
-rw-r--r--. 1 root root  2407872 2013-04-24 04:53 System.map-2.6.32-358.6.1.el6.x86_64
-rw-r--r--. 1 root root   104085 2013-04-24 04:53 config-2.6.32-358.6.1.el6.x86_64
drwxr-xr-x. 3 root root     1024 2015-02-28 00:24 efi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1:47 grub
-rw-r--r--. 1 root root 16593216 2015-03-03 02:15 initramfs-2.6.32-358.6.1.el6.x86_64.img
drwx------. 2 root root    12288 2015-02-28 00:20 lost+found
-rw-r--r--. 1 root root   185842 2013-04-24 04:54 symvers-2.6.32-358.6.1.el6.x86_64.gz
-rwxr-xr-x. 1 root root  4045712 2013-04-24 04:53 vmlinuz-2.6.32-358.6.1.el6.x86_64
[root@station12 boot]# mkdir tmp  #임시 폴더 생성해서
[root@station12 boot]# cp initramfs-2.6.32-358.6.1.el6.x86_64.img ./tmp #램디스크 파일복사
[root@station12 boot]# cd tmp
[root@station12 tmp]# ll
합계 16206
-rw-r--r--. 1 root root 16593216 2015-03-03 02:20 initramfs-2.6.32-358.6.1.el6.x86_64.img
[root@station12 tmp]# zcat initramfs-2.6.32-358.6.1.el6.x86_64.img | cpio -icdmu  # 압축풀고
92119 blocks
[root@station12 tmp]# ll #확인
합계 16266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bin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cmdline
drwxr-xr-x. 3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dev
-rw-r--r--. 1 root root       19 2013-01-09 22:34 dracut-004-303.el6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emergency
drwxr-xr-x. 7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etc
-rwxr-xr-x. 1 root root     8879 2013-01-09 22:34 init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14 initqueue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14 initqueue-finished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14 initqueue-settled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14 initqueue-timeout
-rw-r--r--. 1 root root 16593216 2015-03-03 02:20 initramfs-2.6.32-358.6.1.el6.x86_64.img
drwxr-xr-x. 7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lib
drwxr-xr-x. 3 root root     5120 2015-03-03 02:21 lib64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mount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pre-pivot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pre-trigger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pre-udev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14 proc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sbin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14 sys
drwxr-xr-x. 2 root root     1024 2015-03-03 02:14 sysroot
drwxrwxrwt. 2 root root     1024 2015-03-03 02:14 tmp
drwxr-xr-x. 7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usr
drwxr-xr-x. 4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var
[root@station12 tmp]# cd lib
[root@station12 lib]# ll
합계 19
-rwxr-xr-x. 1 root root 7248 2013-01-09 22:34 dracut-lib.sh
drwxr-xr-x. 4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firmware
drwxr-xr-x. 6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kbd
drwxr-xr-x. 3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modules
drwxr-xr-x. 6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terminfo
drwxr-xr-x. 3 root root 1024 2015-03-03 02:21 udev


2014년 12월 1일 월요일

중국남방항공 유럽 항공권 핫딜

# 중국남방항공 유럽 항공권 핫딜!
 
 
 
 moon_and_james-11 헐
 
중국남방항공의 4주차 프로모션 가격이 나왔습니다.
 
이게 실수가 아니라면 유럽을 왕복 35만원에 다녀오실수 있어요 ㅠㅠㅠㅠㅠㅠㅠ
 
판매기간 : 2014.12.01 ~ 12.07
여행기간 2014.12.01 ~ 15.03.31
 
우엥 이럴줄알았으면 설날에 일본예약안하는건데 눈물
 
 
이미 늦은 후회....
 
터키 진짜 가보고싶어서 발만 동동 굴렀는데...
 
내년에 질러놓은게 너무 많아서 
 
저는 그저 눈물만 흘리며 이 핫딜을 넘겨야 합니다 우엥
 
 
 
 
중국남방항공은 중국을 경유해서 가셔야하는 불편함이 있지만
 
이정도 가격이면 그정도야! ㅋㅋ
 
그리고 경유시 숙박이 필요할 경우 항공사에서 제공해주기도 하니 
 
 
좋은가격에 즐거운 여행 다녀오세요 
 
 
 
moon_and_james-33 
 
내후년엔.. 유럽정복이다 ㅠㅠ 마음의 위로를 해봅니다
 
내후년에도 나와줘요 ㅠㅠㅠㅠ
 
월요일에 저도 항공권 검색 참여하겠시용....갈순없지만요
 
 
 
 
-----------------------------------------
 
+ 추가
 
많은 분들의 공감에 감사드립니다.
 
ㅠㅠ 그런데 원래 남방항공 서버가 좀 유리서버였는데
 
서버가 터져버렸는지 접속이 안되네요
 
저도 항공권의 존재에대해 궁금한 1인으로 검색하려는데 안되서 참 안타깝습니다 ;ㅁ;
 
근데 저도 발표시간은 몰라서 12시가 맞는지 모르겠네요..
 
일단 열심히 확인해 보려고는 합니다 ~
 
moon_and_james-37 
 
갈순없지만 배아프지만...검색할꺼예요!!
 
일일이 답글 달아드리지 못해서 죄송해욤 +_+
 
항공권이 있다는 전제하에~
 
 
막간을 이용하여 자주물으시는 질문 (참고만하셔요~)
 
 
 
1. 유류할증료 포함인가요? 
 
왕복총액이라고 써있었으니 그럴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른 프로모션도 그런식이였거든요
 
 
2. 여권없이 예약할수 있나요?
 
남방항공은 예약시 여권번호를 입력합니다.
 
프로모션 항공권이다보니 이름바꾸는것도 쉽지않은데
 
하물며 여권번호는 티켓을 양도하겠다는것과 다름없으니 안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3. 몇시에 시작인가요?
 
ㅠㅠㅠ 이건 저도 정확하게 모르겠네요
 
에어아시아나 다른 항공사는 시간을 알려주는데 얘네는 그런게 없었어요 ㅠㅠ
 

4. 항공권관련

프로모션 항공권이다보니 제약이 많고,
 
수량이 얼마나 되는지 확실하지 않습니다.
 
싼가격이 팔리면 가격이 올라가는건 어느 프로모션이나 같죠?
 
사실 존재자체가 지금 확인이 안되서 저도 답답하네요 ㅋㅋㅋㅋ


​남방항공은 중국을 경유해서 갑니다
 
저는 광저우를 경유해서 다녀왔구요
 
경유편에 따라 시간이 달라지니  예약시 경유시간 확인하세요
 
 
또한 저는 잘 다녀왔지만 다른 후기를 보면 좋지 않은 경험을 하신 분들도 많습니다
 
그건 케바케니 선택은 본인의 몫입니다.
 
 
좋은 가격에 많은분들이 다녀오시면 좋을텐데..
 
득템하신분 계시면 ㅠㅠ 비밀덧글이라도 ;ㅁ; 
 
비밀로할께요 ㅋㅋ
 
궁금해서 미추어버립니다 ㅋㅋ
 

2014년 4월 24일 목요일

제주도 맛집 정리

제주  추천하는 제주도 맛집 총정리본. #1 돼지고기편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24383134

제주  추천하는 제주도 맛집 총정리본. #2 제주전통음식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24383165

제주  추천하는 제주도 맛집 총정리본. #3 제주전통음식 2탄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24383209

제주  추천하는 제주도 맛집 총정리본. #4 횟집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24383247

제주  추천하는 제주도 맛집 총정리본. #5 고기국수와 면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24383269

제주  추천하는 제주도 맛집 총정리본. #6 정식/백반 일반 식당들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24383373

제주  추천하는 제주도 맛집 총정리본. #7 해장국과 중국집 [마지막 편]

http://www.slrclub.com/bbs/vx2.php?id=free&no=24383409



덧 1) 

추가로 제주도 식당 지도 만들어 봤습니다.
(맛집 아닌 곳 다수 포함입니다...주의하세요.^^)
http://maps.google.com/maps/ms?msid=207190800777223749583.0004e0198...

덧 2)

제주도에서 선정한 착한식당 리스트 링크입니다. (pdf 파일)
대부분 무난한 식당들입니다. 참고하세요...
http://www.jeju.go.kr/temp_files/2013/price.pdf

2014년 4월 1일 화요일

HP-UX 파일시스템 정리

/var 파일시스템은 각종 로그가 쌓이는 위치 입니다.
주기적으로 정리를 해주어야 시스템 운영에 이상이 없습니다.
# df -k
# du -sk /var
# cd /var
# du -sk *
위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var 파일 시스템의 용량을 보시고
/var 로 들어가셔서 du -sk * 하시면 해당 파일 또느 디렉토리의 용량들이 나옵니다.
그 용량들을 보시고 하위 드렉토리 또는 파일을 찾아 계속 들어가다 보면
용량이 터무니 없이 큰 파일을 찾을수 있을 겁니다.
이런 식으로 점차 줄여 나가시면 됩니다.

또는 find 명령을 이용하실수도 있습니다.
# find /var -size +50000000c     >> 50MB 이상 되는 파일 검색

find /var -size +10000000c    하면 10MB 이상되는 file들을 보여 줍니다...
보통 /var에서는 /var/adm/wtmp, /var/adm/btmp, /var/adm/crash, /var/mail/,
/var/adm/syslog/OLDsyslog.log, /var/adm/syslog/mail.log  정도 지우시면 될것 같습니다.
wtmp와 btmp는 내용만 지우세요... # > wtmp  이렇게 하면 파일의 형태는 그대로 있고, size만 0으로 됩니다.
팁1
디렉토리갯수 세기
$ ls -l | grep ^d | awk '{print $9}'|wc -l

화일갯수 세기
$ ls -l | grep ^- | awk '{print $9}'|wc -l
--> "ls -l" 대신 "ls -Rl"

HP 서버 파일시스템 100% 찾을시
찾는 방법은 앞에서 잘 설명 해주셨네요. 보통 /var 파일시스템을 가능하면 많이 잡는게 좋습니다. 최소 4GB에서 ~ 8GB 정도는 잡아 두시는게 좋은데요. 이유야 log가 많이 쌓이니까요 ^^;
1. /var/spool/mqueue <= 요기 sendmail 데몬이 올라가 있거나, 기타 설정상의 문제로 mail이 계속 쌓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냥 다 지워 주면 됩니다.
2. /var/adm/crash <= 시스템의 crash dump 파일이 남아 있어 용량을 차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3. /var/mail/root <= root 유저에게는 각종 Event 정보의 mail이 옵니다, 특별히 관리를 하지 않으셨으면 확인해보세요 정리는
   #/var/mail/root<    내용만 지워집니다.(< 오른쪽에 아무것도 없으면 null 값을 의미합니다.)
4. /var/adm/sw   <== 요기는 HPUX의 OS Patch 관련 내용이 저장되는 곳입니다. 보통 OS Patch를 하면 패치하기전의 상태로 rollback 할수 있도록 기존 정보를 저장해둡니다. patch 몇번하다 보면 이 용량이 상당히 많아 집니다. 또 중복되어 필요없어진 내용도 남아 있게됩니다. 패치잘됐고 용량 확보가 필요하다 싶으시면 cleanup 이라는 명령을 사용해서 정리를 해줄수 있습니다.(자세한 설명은 man cleanup 하시면 돼겠죠? ^^; 또, 하시기 전에 OS backup 받아두면 든든하지 않을까요)
   #cleanup -c 1         <= 1의 의미가 마지막 패치에 대한 rollback 본만 남기고 정리한다는 의미일 겁니다.(가물가물 ^^;) 패치 많이 했으면 상당한 용량이 확보 됩니다.

2014년 3월 31일 월요일

제주도 구제주 맛집정리

구제주편 맛집 정리해서 보냅니다ㅋ
쏘쏘한 곳도 있고 빠진 곳도 있지만 참고사항으로 보세요~
디테일한 것은 "제주 식당이름" 검색해서 블로그로 보시고요~
메모장 같은데 복사해서 저장했다가 뭐 먹을까 고민할 때 꺼내보세요ㅎㅎ
그외 추천 장소는 댓글 달아주는 센스ㅎ

1.구제주
1) 한식
감초식당(보성시장)-순대국밥
누룽지식당(구세무서)-고등어조림
다담(터미널)-연잎밥정식
다소니(보건소)-들깨수제비
다채움(남광초)-놀이방있는 샤브샤브
닭모리(일도)
대광식당(시청)-냉면
대원가(도남)-해물탕
도남막창(도남)
돌하루방식당(일도)-각재기국
동이트는집(일도)-추어탕
매운디(베라체)-매운갈비찜
명물식당(탑동소방서)-활한치물회
미루네(이도)-정식
배비장(베라체)-보쌈정식 순대정식
불타는차돌쭈꾸미(이도)
복진아구찜(일도)
삼도정손순두부(삼도)
상춘재(아라)-멍게비빔밥과 추어탕
서문뒷고기(삼도)-두루치기
선비묵집(아라)-묵정식
선우(제주법원)-육개장 보말국
소드래(일도)-정식
쎌바(시청)
손심엉(베라체)-검정보리해물칼국수
솔지식당(시청)-돼지고기멜조림
신설오름(일도)-몸국
아라쭈꾸미(인제 일도주유소)
어머니와장독대(일도)-보리밥정식
온누리식당(이도)-갈비찜
우진해장국(삼도)-고사리육개장
이순애순대국밥(봉개)
은희네해장국(일도)
윤가정식(아라)
진영식당(용담)-순대국밥
착한식당(삼도)-만두전골
초록바다(이도)-조기구이정식
태광식당(용담)-주물럭
태선갈비(일도)
태백산3호점(아라)-정식
토근식당(시청)-정식
토담골(아라)-전복삼계탕
푸주옥(도남)-설렁탕 도가니탕
화성식당(삼양)-접짝뼈국
흑돈세상(아라)
홍소반(이도)-정식
24시국수회관(삼도)-주물럭

2) 중식
덕성원(일도)-게짬뽕
리향(용담)-탕수육 짬뽕
마라도에서온짜장면(일도)-착한짜장면
아서원(삼도)-냉국수
임성반점(용담킹마트)-짬뽕
유일반점(시청)-냉우동
차이메이(이도)
천금반점-짬뽕(삼도)

3) 일식
라멩하우스(시청)
스시도모다찌(시청)-회전초밥
이돈갓(시청)-일본식돈까스
우도동굴횟집(동광초)
청어람(일도)
청해일횟집(이도)
쿠루쿠루(이도)-일본가정식
토닥토닥(삼도)-돈까스정식

4) 양식
닐모리동동(용담)-파스타
루스트(이도)-빠네
매너(이도)-샐러드파스타 피자
바그다드(시청)-커리 탄두리치킨
스크루지펍(베라체)-런치세트
슬로우가든(시청)-파스타
파스타앤(시청)-치킨크림스파게티->신제주 한데모아(?)
키친1983(아라)
킴스커틀렛(이도)-돈까스 볶음우동
쿠킹스토리밥(용담)

5) 기타
고로케야(일도)-수제고로케
골막국수(일도)
남춘식당(일도)-콩국수 김밥
다가미(정부청사)-다가미김밥
명동칼국수(중앙로)
북교 해바라기(삼도)-순두부
빈스푸드(아라)-탕수육 짬뽕 볶음밥
삼대국수회관(일도)-고기국수
자매국수(일도)-비빔국수
코코분식(시청)-칼국수 비빔밥 육계장
코크니셰(시청)-롤 치킨데리야키철판요리
피자알볼로(중앙여고체육관)
항아리칼국수(정부청사)
호떡골목(동문시장)-야채호떡
홍가네칼국수(이도)
홍열이네(일도)-매운닭날개 등갈비

6)카페&베이커리&떡
깐니네카페(오라)-메론빙수
꿈꾸는흰당나귀(시청)-말차빙수
네꼬야(아라)-커피&홍차
더치립(베라체)-초코큐브식빵
떡하니(이도주공)-쑥치즈설기
루드비히(아라)-드립커피
베리베리(베라체)-수제컵케잌
봉씨네파이파이(이도)
브런치카페앨리(이도)
빠네띠에(이도)
뽕글랑(제주여고)
서사라떡빵앗간(서사라)-막걸리빵 찐빵
아라찐빵
엘리엇스체어(이도)-커피 샌드위치
와이파이(이도)-찹쌀파이
오랑주(구세무서)-수제케잌
오빵구이(이도)-쑥찐빵
이레브랑제리(이도)
카카듀(이도)-녹차빙수 유자차
커피쟁이(시청)
토르토니(시청)-초코퐁듀
한라산쑥찐빵(베라체)
행복한차실(칠성통)-대추차